전편과 이어집니다 옵셔널 바인딩 1)if 구문 내에서 조건식 대신 옵셔널 값을 일반 변수나 상수에 할당하는 구문을 사용하는 방식 2)조건문 내에서 일반 상수에 옵셔널 값을 대입하는 방식 3)반드시 조건문에서 사용해야만 한다 4)옵셔널 값을 대입한 결과는 true/false로 리턴 예제를 확인해봅시다 var str = "swift" //if문 if let STR = Int(str) { print("Int형으로 변환됩니다") } else { print("실패!") } //guard문 guard let STR = Int(str) else { print("실패!") return } 전편과 비슷해보이지만, STR가 상수도 선언되었으며 옵셔널이 아닌 일반 타입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옵셔널 값이 ..